 |
|
|
2016 - 서울시립대 합격생 후기입니다. |
 |
|
|
Posted at 2015-12-30 00:22:50
|
저는 1월 달부터 다닌 최*현 이라는 이과학생입니다. 결과적으로는 원한 결과를 이루지 못했지만 후기를 남기겠습니다^^; 300일 남짓 남았을 때 재수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 재수를 하게 된 이유는 평소보다 성적이 안 나오기도 했지만 고3 때 성적이 많이 떨어지게 되고 고2 때 평소 성적이 비슷했던 친구들과 비교하면서 스트레스도 받고 저 자신도 공부 시간은 꽤 확보 했지만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면서 사실 수능 보기 전부터 제대로 공부하고 싶다는 느낌과 함께 어느 정도 재수를 생각 했었습니다. 그리고 수능을 보고 역시 성적이 안 나와서 바로 재수를 생각했지만 개인사정으로 계속 미루다 300일 남짓 남았을 때 재수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 저 같은 경우에는 원래부터 독학 혹은 독재학원을 생각했었습니다. 부모님은 많은 사람들이 종합재수학원을 가기 때문에 종합재수학원을 원했지만 전 제가 원하지 않는 수업은 잘 듣지 않기도 했고 종합재수학원에 가면 제가 고3 때 했던 실수를 똑같이 할 거라고 생각하였고 부모님을 설득하고 도서관에서 3일 정도 하고 독재학원에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사실 이 이후로는 월별로 조금 자세히 썼는데 필요할까 싶어서 한글에 저장만 해놨어요. 혹여 필요하면 말씀 해주세요. 아래엔 간략하게 쓸게요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일단 독재학원의 장점과 이 학원의 장점을 쓰면 아무래도 독재학원 다니면서도 가끔씩 도서관에서 했는데 아무래도 도서관, 집 또는 독서실에서 할 경우에는 아무래도 일정한 시간과 이른 시간부터 공부하기도 힘들고 아무래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는 요소가 없어서 나태해지기 쉽더라구요. 그리고 일일이 스케줄을 짜주시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부 량을 꾸준히 이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참고로... 전 잘 안 지키는 스타일이라 물론, 할당량을 안 채운 것은 아니고 그날 공부가 좀 더 잘되는 과목이나 재밌는 과목을 더하고 안 되는 과목은 다음으로 미루거나 해서 그래도 일주일 정도 텀으로는 거진 채웠습니다.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은 공부량이 많다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. 6월 1달 간 중간에 강청 다녔었는데요 다시 나온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. 그리고 저에겐 가장 좋았던 점은 아무래도 선생님들이라고 생각됩니다. 독재학원 특성상 하루 하루가 따분하다고 생각 될 수 있고 외롭다고 생각 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. 저도 2달 정도 후에는 그랬습니다. 물론 친구를 사귀면 좀 덜하겠지만 독재 특성상 종합재수학원처럼 빠르게 친해지지는 않구요 친화력이 좋으시면 금방 금방 사귀시겠지만 또 조용히 공부를 원하는 스타일을 원하시는 분들도 많으실꺼라 생각됩니다. 저도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은 생각은 없었거든요. 낏해야 스터디그룹하면 1~2명 정도...? 머.. 저도 한 3월 4월 되면서 날씨도 나른해지게 되면서 마음이 왠지 공허한 느낌도 들고 공부에 집중이 잘 안되었는데 그 때마다 선생님들과 이런저런 얘기도 하면서 공부 스트레스도 풀고 공부의 동기부여도 조금씩 다시 찾았던 것 같습니다. 아무래도 선생님들의 성격도 좋으시고 나이도 여타 학원들에 비해 적으신 편이라 말 터놓기도 편해서여러 얘기를 나누면서 많은 도움 받았습니다 ㅎㅎ 음... 써도 되나 모르겠지만 단점도 쓰겠습니다!! 일단.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많으니 평소에 공부습관이 잘 들여지지 않은 사람에겐 상당히 힘듭니다. 그리고.. 뭐 재수 혹은 N수 자체가 그러기도 하겠지만 좀 외롭습니다. 사람 성격 마다 달라서 안 외로우신 분 도 있겠지만... 그리고 재종보단 아무래도 혼자 있는 시간이 더 많다 보니 더 외롭다고 느껴질 것 같아요. 또.. 음... 경쟁심은 재종보다는 좀 덜 하다고 생각되요. 아무래도 재종은 사람이 많기도 하고 수준 별로 반을 나누기 때문에 경쟁심은 독재 학원보다는 더 생길거라고 생각됩니다. (저 같은 경우에는 경쟁, 비교가 고3때 스트레스로 다가와서... 저에겐 이 점은 독재를 고르게된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) 장점 혹은 단점 더 있을 것 같기는 한데.,.,.,.,.,., 생각이 안 나서..
cf) 독재보다는 독학재수학원을 추천드려요. 아무래도 통제 해줄 수 있는 요소도 있고 중간 중간 다른 사람들과 시험 보는 요소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^^ 재종, 기숙, 독재는 각 각 장/단점과 자신의 성격 고려해서 정하세요.
혹시 더 궁금하신거 있으시면 쪽지나 댓글 해주세요.^^
|
|
|
|
|
|
|
|
|